
개요 우리는 웹 사이트를 개발하건, 게임을 개발하건, 아무튼 뭘 개발하건 사용자로부터 어떤 특정한 값을 얻어야 할 때가 있다. 음식점에 배달을 시킬 때 집 주소를 입력하거나, 게임에서 캐릭터를 만들 때 닉네임을 정한다던지 말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정말 개발자의 의도대로 입력값을 넣어준다면 정말 좋을텐데, 사용자는 그렇게 착하지 않다. 주소지를 입력하는 창에 한 편의 소설을 적을 수도 있고, 닉네임에 불쾌감을 주는 단어나 무슨 뜻인지도 모르겠는 특수문자들을 남발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개발지식이 있는 유저들은 게임 닉네임으로 코드를 짜고 있겠지) 서비스 제공자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똘끼(?)를 언제나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하며, 사용자가 어떤 이상한 짓을 해도 프로그램이 개발자의 의도 하에서 제어가 될 수..
개요 아마 웹 개발자로 일을 했다면, 혹은 공부를 했다면 지나가는 길에 한 번 쯤은 Restful API가 무엇인지 들어봤을 것이다. 뜻이 뭔지 알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현재 본인이 만들고 있는 프로그램에 사용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뜻을 적어보라면 못 적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Restful API가 무엇인지 설명해보고자 한다. 자원과 행위의 표현 Restful API란 다시 말해, Resource, Verb, Representations을 말한다. 이렇게 말하면 잘 이해가 안 될 수도 있으니 예제를 보자. 예제 우리가 보통 프론트엔드를 개발하여 서버와 통신을 하고자 한다면, 해당 서버의 특정 자원을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해당 자원을 어떤 형태로 사용할 것인지를 명시하기 위해 우리는 보통 ..
코드 #header { background: #EEE; padding: 20px 0; } .canvas_place .canvas_place__option { padding: 10px 0; text-align: right; font-size: .9em; } .canvas_place canvas { margin: auto; display: block; border: 1px solid #CCC; } .canvas_place .canvas_place__btnhome { padding-top: 20px; } .canvas_place .canvas_place__btnhome .title { padding-bottom: 10px; font-weight: bold; font-size: 1.2em; } .comment_..
- Total
- Today
- Yesterday
- 산업기능요원 재배정
- eslint
- 대학생 산업기능요원
- kakaocdn
- 대학생 현역 산업기능요원
- 초성
- 2020정보처리산업기사
- 현역 산업기능요원
- 산업기능요원 폐지
- 21년 산업기능요원
- 산업기능요원
- 2021년 산업기능요원
- JavaScript
- React Native
- 정보처리 산업기능요원
- 검색
- React-Native
- IT산업기능요원
- 정보처리산업기사 요약
- 산업기능요원 재배정 확정
- 2021년 산업기능요원 재배정
- NUXT
- 기능대회
- 기능경기대회
- 산업기능요원 현역
- 전국기능경기대회
- 산업기능요원 인센티브T.O
- 캔버스 그림판 javascript
- jest
- 초성검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